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윤대녕 소설가가 지난 4일, 서종면에 위치한 황순원문학촌 소나기마을에서 열린 ‘2025 소나기마을 문학교실’에서 ‘이야기는 어디서 시작되고 왜 필요한가?’를 주제로 특강을 진행했다.
윤 작가는 1994년에 발표한 첫 소설 ‘은어낚시통신’을 통해 존재의 시원에 대한 천착과 우수와 허무가 짙게 깔린 독특한 문체로 평단의 주목을 받았다. 그 후 90년대를 대표하는 작가로 떠오르며 ‘삶의 근원에 대한 그리움’을 지속해서 그려나가며 문학적 성취를 이루어 폭넓은 독자층에서 꾸준히 사랑을 받고 있다.
이번 강연에서 윤 작가는 시간과 공간이 겹치는 지점, 즉 ‘시공간’이 씨줄과 날줄로 겹치는 지점에서 삶이 발생하고 이야기는 시작된다고 말했다. 부모의 부재, 텅 빈 고옥에서 노인들과 보낸 유소년 시절, 그 시절에 경험한 시골의 사계절과 마당, 햇빛, 새벽의 눈, 기차역, 고속도로 휴게소, 버스터미널 등이 공간과 장소에 관한 인식을 갖게 했다고 말했다. 그의 인생을 형성했던 공간으로는 골목길, 역전 다방, 여관, 목욕탕, 영화관, 공중전화 부스, 절(사원)을 꼽았다.
질의응답 시간에는 “소설은 누구나 쓸 수 있느냐”는 질문에 “글은 누구나 쓸 수 있지만 아무나 쓸 수는 없다. 삶의 표현에 절실한 사람만이 글을 쓸 수 있다”고 답했다. 이어 “인생에서 나쁜 경험이란 없다”며 이자크 디네센의 말을 빌려 “모든 슬픔은 이야기 되어질 때 비로소 견딜 만해진다. 서로의 고통에 개입해야 진정한 관계와 삶이 발생하고 그렇게 우리 삶은 이야기를 통해 존속된다”고 강조했다.
이날 강연에는 지역 주민과 문인, 독자 등 80여 명이 참석했다.
‘소나기마을 문학교실’은 매주 목요일 오후 2시에 열리며, 앞으로 김동선 PD(뮤지컬 ‘광화문연가’ 등), 사회학자이자 칼럼니스트인 송호근 교수(한림대), 조지은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 이수정 재미 작가, 김진명 소설가, 시인이자 예술원 회원인 최동호 교수(고려대), 김민식 전 MBC PD, 소나기마을 홍보대사 강성진·이현영 부부 콘서트, 방송인이자 개그맨 김종석 교수 등의 강연이 예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