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의정부시는 전남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여객기 참사와 관련해 국가 애도기간을 고려하여, 2025년 1월 1일 을사년 새해를 맞아 시민과 함께 건강하게 새해 새 아침을 걷기 위해 추진하던 2025년 새해 해맞이 걷기 행사를 부득이하게 전면 취소한다고 30일 밝혔다. 김동근 시장은 “희생자와 유가족분들께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하며, 모든 분이 안전하고 평안한 새해를 맞이하시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화성시 서신면 일원 일차전지 생산업체 아리셀에서 난 화재로 약 22명이 사망, 2명 중상, 6명 경상 등 최악의 화성시 역대 참사가 발생했다. 이런뉴스는 향남 의용소방대가 찍은 동영상을 입수했다. 윤석열 대통령 김동연 경기지사 등 정치권의 관심도 집중된 가운데 추후 유독가스로 인한 2차 피해가 예상되는 이번 화재로 화성시는 화재 관련해 매우 큰 불명예와 함께 큰 논란에 휩싸이게 됐다. 문제는 리튬배터리에서 발생되는 가연성 가스인 수소, 일산화탄소, 불산 등과 같은 유독가스가 편서풍을 타며 남양을 휩쓸고 봉담으로 넘어갔다는 것이다. 아래 사진은 오후 24일 오후 12시30분 화성시 남양읍 일원이다.
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이호동 의원(국민의힘, 수원8)이 대표 발의한 '경기도교육청 4·16세월호참사 희생자 추모의 날 지정에 관한 조례안'이 6월 제375회 정례회에서 해당 상임위원회에 상정될 예정이다. 이번 조례안은 2014년 세월호참사 당시 단원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솔 책임자로 참사 수습과정에서 명을 달리한 故강민규 교감을 '경기도교육청 4·16세월호참사 희생자 추모의 날 지정에 관한 조례'에 따른 희생자로 인정하여, 고인의 교육자로서의 투철한 사명감과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조례 개정안을 발의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故강민규 교감을 희생자에 추가 규정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호동 의원은 “2014년 세월호참사로 전국민이 비통한 슬픔에 잠겨 있었고, 그 과정에서 故강민규 교감선생님에 대해 우리 사회가 아쉽게도 살피지 못한 측면이 있다”고 말하며, “참사 후 10년의 세월이 지났지만 교육자로서 끝까지 헌신하신 고인을 기리는 일은 경기교육이 반드시 해야 하는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소회를 밝혔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참사는 한국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으며, 그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큰 희생을
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안전이라는 단어는 몇 번을 써도 부족한 이때 29일 오전 수원에 있는 A백화점 및 역사에서 수원시청 안전팀 직원, 코레일 사업팀 담당사원, 수원남부소방서 소방패트롤팀장, 백화점 마케팅 담당직원, 시청 출입기자 5명이 참석한 가운데 합동안전점검을 실시했다. 이번 안전점검을 제시한 O기자는 “3주간 부단히 노력했다 이제야 점검이 이뤄져 그나마 감사하다”라며 말을 했고 특히 “기자들의 집요함에 소방서와 시청 안전 관계자들이 함께 점검하는 계기가 돼 조금은 아쉽기도 했지만 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차원에서 할 일을 했을 뿐”이라며, 속내를 나타냈다. 이어 지하층부터 시작해 1층~6층까지 그동안 위험하다고 판단해 찍어 뒀던 사진 등을 보여 주며 당시까지도 개선이 되지 않은 ▶통로 매대 ▶에스컬레이터 주변 매대 ▶소화전을 막고 있는 매대 ▶비상구 통로 적재물 ▶화재 시 중요한 방화셔터 아래를 점유한 매대부터 하나 하나 점검을 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에 A백화점 직원은 점검 후 “안전에 미흡한 점이 발견되는 그 즉시 조치 하겠다”라는 점을 강조했고 “추후라도 다시 방문해 조치가 됐을지에 확인을 해도 되겠냐”는 기자들의 물음에 “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