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의회 조지영 의원, 5분 자유발언 “초고령사회 사회에 따른 안양시 요양요원지원센터 설립촉구”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우리 사회가 직면한 현실을 지적

 

 

이런뉴스(e-runnews) 김삼성 기자 | 안양시의회 조지영 의원(더불어민주당, 호계1·2·3동·신촌동)은 제302회 임시회 제2차 본 회의 5분 발언을 통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우리 사회의 현실을 지적하며 요양보호사의 열악한 처우 개선과 권익향상을 위한 ‘요양요원지원센터’ 설립을 촉구했다.

 

조 의원은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2024년 12월 기준으로 1,024만 명을 넘어서며 전체 인구의 20%를 돌파해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며, 어르신 돌봄에 대한 수요의 증가와 중요성에 대해 어필했다.

 

이어 어르신 돌봄의 대상인 장기요양 수급자가 2023년 기준 약 110만 명에 달하지만, 요양보호사는 이미 인력 부족 현상을 겪고 있으며 2028년에는 약 11만 명 이상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특히 “자격증을 취득한 요양보호사 278만 명 중 실제 활동 인원은 약 23% 불과한데, 이는 고용 불안정, 낮은 임금, 인권침해, 사회적 인식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지적과 함께 “요양보호사는 우리 사회 돌봄 시스템의 핵심 인력이지만 그에 걸맞은 보호와 지원은 매우 미비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조 의원은 다음과 같은 정책적 대안을 제시했다.

▲‘요양보호사의 날’ 제정 ▲장기요양요원(요양보호사·사회복지사·간호조무사 등을 포함) 실태조사 ▲민간 요양기관 및 관련 단체와의 협력 체계 구축 ▲실질적인 교육·상담·인권옹호 등을 위한 운영 체계 정비 ▲‘요양요원지원센터’ 설립을 촉구 등이다.

 

조 의원은 “요양요원지원센터는 요양보호사의 역량 강화와 권익향상,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은 물론, 상담, 자조 모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이들을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의 허브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끝으로 조 의원은 “어르신 돌봄은 곧 시민의 일상이며,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를 보호하는 것은 우리 모두의 돌봄 안전망을 지키는 일”이라며, “지금이야말로 ‘어르신 맞춤형 돌봄 도시 안양’을 향한 정책 실행의 시점”임을 강조했다.

프로필 사진
김삼성 대표기자

진실에 접근시 용맹하게 전진 한다.

배너